서울과 경기도, 청년에게 필요한 주거지원은 똑같지만 제도는 미묘하게 다릅니다. 같은 전세보증금이라도 서울은 무이자, 경기는 한도 넉넉!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서울 vs 경기 전세 지원제도 실전 비교**를 해볼게요. 어디에 사느냐에 따라 혜택이 이렇게 다릅니다.
서울시 청년 전세보증금 지원 (무이자)
서울시는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최대 7천만 원까지 무이자 대출을 제공합니다.
✔️ 대상: 만 19~39세 서울 거주 청년
✔️ 지원 금액: 최대 7,000만 원
✔️ 이자율: 0% (무이자)
✔️ 대출 기간: 2년 + 2년 단위 최대 6년
✔️ 조건: 보증금 2억 이하, 월세 70만 원 이하
✅ 신청 시점에 서울 거주 중이거나 서울로 이사 예정인 청년 모두 신청 가능
경기도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지원
경기도는 **전세와 월세 모두 지원** 가능한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
✔️ 대상: 만 19~39세 경기도 거주 청년
✔️ 지원 금액: 최대 1억 원
✔️ 이자율: 무이자 (보증료는 본인 부담)
✔️ 대출 기간: 2년 + 연장 가능 (최대 6년)
✔️ 조건: 소득 중위 150% 이하, 자산 기준 있음
✅ 보증보험 가입 가능한 주택이어야 하며
경기도 내 거주 또는 이사 예정이어야 신청 가능
지원 방식의 핵심 차이
서울과 경기도 모두 무이자 전세대출을 제공하지만,
그 방식과 조건은 조금씩 다릅니다.
🔸 서울: 지원금은 적지만 절대 무이자
→ 보증료, 이자, 수수료 모두 없음
🔸 경기: 지원금은 크지만 일부 본인 부담
→ 보증료는 본인 부담 / 보증금 최대 1억까지 가능
서울 vs 경기 전세 지원 비교표
항목 | 서울시 | 경기도 |
---|---|---|
지원 대상 | 19~39세 서울 청년 | 19~39세 경기 청년 |
지원 한도 | 최대 7천만 원 | 최대 1억 원 |
이자율 | 무이자 (0%) | 무이자 (단, 보증료 본인 부담) |
대출 기간 | 최대 6년 (2+2+2) | 최대 6년 |
주택 조건 | 보증금 2억 이하, 월세 70만 이하 | 보증보험 가입 가능 주택 |
기타 조건 | 보증보험 비용 無 | 보증보험 비용 有 |
이런 사람에게 추천!
✅ 서울시 지원이 유리한 경우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소형 주택을 찾는 청년
- 무이자 대출로 초기 비용을 줄이고 싶은 분
- 서울 거주 또는 예정이며 소득 기준 충족 가능할 때
✅ 경기도 지원이 유리한 경우
- 보증금 7천~1억 원대 주택을 찾는 분
- 보증료 일부 부담 가능하며 보장 범위 넓게 확보하고 싶은 분
- 경기도에 직장이나 학교가 있는 청년
Q&A
Q. 서울과 경기 제도를 중복 신청할 수 있나요?
아니요. 지자체 전세지원 제도는 **지역 거주 요건이 명확**해 중복 신청이 불가능합니다.
Q. 보증보험 비용은 얼마인가요?
통상 대출 금액의 0.15~0.2% 수준입니다. 서울시는 이 비용을 지원하지만, 경기도는 본인이 부담합니다.
Q. 소득이 없어도 신청 가능한가요?
두 지역 모두 무소득자 또는 저소득자도 신청 가능하며, 심사 기준은 연소득과 자산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Q.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서울시는 서울주거포털에서, 경기도는 경기도일자리재단 또는 해당 지자체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합니다.
Q. 신청 후 언제 입금되나요?
심사 완료 후 전세 계약서를 제출하면 임대인 계좌로 직접 입금되며, 기간은 평균 3주~4주 내외입니다.
결론: 내 상황에 맞게, 지역 혜택 누리자
서울과 경기도는 전세 보증금 지원이라는 공통 목적을 갖고 있지만,
금리, 한도, 보증 조건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 원하는 전세 금액,
보증보험 비용까지 고려하여 **맞춤형 선택**이 필요합니다.
지금 내가 누릴 수 있는 혜택, 절대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