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정책 총정리

서울과 수도권 집값, 여전히 높고 기회는 멀게만 느껴지시나요?
정부가 본격적으로 공공택지 직접 시행, 노후시설 재건축, 민간 인허가 단축 등 전방위 공급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가구를 공급하는 이 전략, 지금 바로 핵심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

 

 

🏙 수도권 주택 135만 가구 공급 계획


정부는 2025~2030년까지 매년 27만 호의 신규 주택 착공을 추진해 총 135만 가구 공급을 목표로 합니다. 단순 공급 확대를 넘어서 공공이 직접 시행하고, 민간과 병행하며 공급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확보합니다.



🚧 핵심 공급 전략 5가지


구분 핵심 내용
1. LH 직접 시행 공공택지 민간 매각 없이 LH가 직접 건설·분양
2. 노후시설 재정비 공공임대주택, 공공청사 등 유휴부지 재건축
3. 인허가 절차 단축 지자체·민간 사업자 대상 심의 통합 운영
4. 신도시·정비사업 확대 1기 신도시 선도지구 물량 확대 및 주민제안 반영
5. 비아파트 공급 다변화 공실 상가 리모델링, 오피스텔·도생 등 14만 가구 공급


🏗 주요 착공 물량별 요약


  • ✔ 공공택지 직접 시행: 37만 가구 착공
  • ✔ 노후 영구임대 재건축: 2.3만 가구
  • ✔ 국유지·공공청사 활용: 2만 가구
  • ✔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 5만 가구
  • ✔ 1기 신도시 선도지구: 6.3만 가구
  • ✔ 오피스텔·도시형주택 등: 14만 가구


📉 수요관리 병행 정책도 추진


투기 수요 유입을 막기 위해 대출 규제도 강화됩니다.
정부는 6.27 대출 규제에 이어 아래와 같은 조치를 병행합니다.


  • ✔ 규제지역 LTV 상한: 기존 50% → 40%
  • ✔ 주택매매·임대사업자 대출: 0% 전면 차단
  • ✔ 토지거래허가구역: 국토부 장관 직접 지정 가능


🗺 공급지 예시: 수도권 중심으로


  • 📍 서울 서리풀 지구 (2029년 착공 예정)
  • 📍 경기 과천 지구
  • 📍 3만 가구 규모 신규 공공택지 예정지 하반기 발표


✔ 마무리


“공급 물량은 숫자보다 속도가 핵심입니다.”
공공이 직접 시행하고 민간은 절차를 줄여 ‘집을 원하는 곳에, 빠르게 공급’하는 것이 이번 정책의 핵심입니다.
내 집 마련을 고민 중이라면, LH 공공분양/임대 알림 시스템과 함께 향후 수도권 택지 발표 일정도 꼭 체크하세요!


 

#수도권공급계획 #2030공공택지 #LH직접시행 #수요관리 #LTV강화 #신도시정비 #정부주택정책 #공공임대재건축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