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계약서 작성법 가이드 (2025년 최신)
부동산 계약서는 매매, 전세, 월세 등 부동산 거래의 권리·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작성하는 필수 문서입니다. 계약서 작성 시 필수 항목과 주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하지 않으면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부동산 계약서 작성의 기본 원칙
- 계약 당사자(임대인·임차인 또는 매도인·매수인) 정확히 기재
- 부동산의 정확한 표시(주소, 동·호수, 면적, 지번)
- 거래 금액 및 지급 조건 명확화
- 계약 조건·특약사항 상세 기재
- 계약 당사자 서명·날인 필수
2. 계약서 필수 기재 항목
항목 | 내용 |
---|---|
계약 당사자 | 성명, 주소, 연락처, 주민등록번호 |
부동산 표시 | 주소, 건물명, 동·호수, 지번, 면적 |
거래 금액 | 매매가 또는 보증금, 월세 금액 |
지급 조건 | 계약금, 중도금, 잔금 지급일 및 방법 |
계약 기간 | 시작일과 종료일 |
특약사항 | 임대차보증금 반환 조건, 수리·관리 책임, 해약 조건 |
3. 계약서 작성 절차
- 부동산 권리 확인
- 등기부등본 열람: 소유자, 근저당, 가압류 확인
- 계약 조건 협의
- 거래 금액, 지급 일정, 특약사항 협의
- 계약서 작성
- 국토교통부 표준계약서 사용 권장
- 서명·날인
- 당사자와 입회인(중개사) 모두 서명·날인
- 계약금 지급
- 계좌이체 또는 현금 영수증 발급
4. 계약서 작성 시 주의사항
- 구두 약속은 반드시 계약서에 기재
- 등기부등본 정보와 계약서 내용 불일치 시 정정
- 특약사항은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작성
- 날인 후 수정은 불가하므로 작성 전 재확인
5. 결론
부동산 계약서는 단순한 서류가 아닌, 거래의 법적 근거가 되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표준계약서 양식을 활용하고, 권리 확인과 특약 기재를 꼼꼼히 하는 것이 안전한 거래의 핵심입니다.
📌 참고 자료 국토교통부 표준계약서 다운로드 대법원 인터넷등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