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피해 사례와 법적 대응 절차
전세사기는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계약 자체가 사기 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말합니다. 2025년 현재 빌라, 다세대주택, 오피스텔에서 특히 피해가 빈번하며, 법적 대응 절차를 이해하는 것은 피해 회복에 매우 중요합니다.
1. 전세사기 피해 사례
사례 | 내용 | 결과 |
---|---|---|
허위 소유권 계약 | 등기부상 소유자가 아닌 제3자가 위임장 없이 임대 계약 체결 | 계약 무효, 보증금 전액 손실 |
근저당 과다 설정 | 집값보다 많은 채권액 근저당 설정 후 전세 계약 | 경매 시 보증금 회수 불가 |
갭투자형 전세사기 | 매매가와 전세가가 비슷한 상태에서 대량 매입 후 전세 계약 | 집값 하락 시 보증금 반환 불가 |
허위 분양·전세계약 | 미등기 신축 건물 분양·전세 계약 체결 | 소유권 확보 불가, 보증금 손실 |
2. 전세사기 법적 대응 절차
- 피해 사실 확인
- 등기부등본·계약서·송금내역 확보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여부 확인
- 관할 경찰서 고소
- 사기죄(형법 제347조) 및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 혐의
- 증거자료와 함께 고소장 제출
- 법원 절차 진행
- 민사소송: 보증금 반환 청구
- 가압류 신청: 가해자 재산 확보
- 경매·배당 절차
-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 경매 배당요구 기한 내 신청
- 보증보험 청구
- HUG, SGI 등 보증기관에 보증금 반환 청구
- 계약서·등기부등본·주민등록등본 등 제출
3. 피해 예방과 대응 팁
- 계약 전 등기부등본·세금완납증명서·전세가율 확인 필수
- 전세보증보험은 계약 즉시 가입
- 피해 발생 시 신속히 경찰·법원 절차 진행
- 법률구조공단, 대한법률구조공단 등 무료 법률 상담 활용
📌 참고 사이트 - 국토교통부 전세사기 대응센터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대한법률구조공단
⚠ 전세사기는 시간이 지체될수록 피해 회복이 어려워집니다. 의심 징후 발견 즉시 법적 조치를 시작하는 것이 최선입니다.